“LG화학, 합리적 가격으로 상업화 신약 및 美 판매망 확보”
화학이 나스닥 상장 바이오텍 아베오 파마슈티컬스를 인수한다. 20 일 국내 증권가에선 상업화 신약과 미국 판매망을 합리적인 가격에 확보한 것이라고 평가했다. 이번 인수로 생명과학 사업의 보폭을 확장해 글로벌 신약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. LG 화학은 지난 18 일 미국 아베오 파마슈티컬스를 주당 15 달러, 총 5억 6600 만달러(약 8000 억원)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. 당시 주가에 43 %의 경영권 프리미엄(웃돈)을 얹었다. 아베오의 핵심 제품은 혈관내피생성인자수용체( VEGFR ) 티로신 키나제 억제제( TKI ) ‘포티브다’(성분명 티보자닙)다. 2017 년 신세포암 1차 치료제로 유럽의약품청( EMA ) 승인을 받은 데 이어, 지난해 3월 미국 식품의약국( FDA )으로부터 신세포암( RCC ) 3차 치료제로 승인받았다. 이동건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“미국 내 상업화 제품을 보유한 기업의 인수를 통해 불확실성을 낮췄다”며 “현지 유통망 및 상업화 경험 인력을 확보함으로써 기존 연구개발( R&D ) 후보물질과의 상생(시너지) 효과도 기대된다”고 말했다. 최근 진행된 바이오텍 인수합병( M&A )의 프리미엄이나 주가수준(멀티플)을 고려하더라도, 인수가격은 합리적인 수준이란 평가가 나온다. 박재경 하나증권 연구원은 “시장조사기관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포티브다의 최대 매출은 2028 년 4억 2000 만달러를 기록할 전망”이라며 “ LG 화학의 인수가격은 포티브다 최대 매출 대비 1.3 배 수준으로 합리적”이라고 말했다. 또 아베오가 포티브다의 적응증을 확장하고 있다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했다. 박 연구원은 “동일한 VEGFR TKI 기전인 화이자의 ‘인라이타’가 작년 10 억달러 매출을 기록했고, ‘키트루다’ 병용으로 신세포암 1차 치료에 대해 FDA 승인을 받은 ...